티스토리 뷰
반응형
증기의 건도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?
(정답률: 66%)
- 포화수의 건도는 0이다.
- 습증기의 건도는 0보다 크고 1보다 작다.
- 건포화증기의 건도는 1이다.
- 과열증기의 건도는 0보다 작다.
✅ 정답: 4번. 과열증기의 건도는 0보다 작다.
풀이
- 건도(X)란? 습증기 상태에서 수증기의 질량 비율을 나타냅니다.
- 공식: X = (수증기 질량) / (물 + 수증기 총질량)
상태 | 건도(X) | 설명 |
---|---|---|
포화수 | 0 | 물만 존재 |
습증기 | 0 < X < 1 | 물 + 증기 혼합 상태 |
건포화증기 | 1 | 물 없이 증기만 존재 |
과열증기 | 적용 불가 | 이미 완전한 기체 상태, 건도 개념 없음 |
💡 요약
- 과열증기는 건도 개념이 적용되지 않으므로, "0보다 작다"는 표현은 틀립니다.
- 정답은 4번입니다.
중유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?
(정답률: 70%)
- 점도에 따라 A급, B급, C급으로 나눈다.
- 비중은 약 0.79~0.85이다.
- 보일러용 연료로 많이 사용된다.
- 인화점은 약 60~150℃정도이다.
✅ 정답: 2번. 비중은 약 0.79~0.85이다.
풀이
- 1번 – 점도 기준 등급 분류: 맞는 설명입니다. 중유는 점도에 따라 A급(경질), B급(중간), C급(중질)으로 구분됩니다.
- 2번 – 비중: 틀린 설명입니다. 중유의 비중은 일반적으로 0.88~0.96이며, 0.79~0.85는 경유나 등유에 해당하는 값입니다.
- 3번 – 보일러 연료로 사용: 맞는 설명입니다. 중유는 산업용 보일러, 대형 난방 시스템의 연료로 널리 사용됩니다.
- 4번 – 인화점: 맞는 설명입니다. 중유의 인화점은 대략 60~150℃ 범위입니다. A급은 낮고 C급은 높은 편이지만 전체적으로 맞는 설명입니다.
💡 요약표
항목 | 설명 | 정오 여부 |
---|---|---|
점도 등급 | A/B/C급으로 구분 | 맞음 |
비중 | 약 0.88~0.96 (문제 보기의 수치는 경유 범위) | 틀림 |
용도 | 보일러용 연료로 많이 사용 | 맞음 |
인화점 | 약 60~150℃ | 맞음 |
결론: 중유의 비중을 잘못 제시한 2번이 정답입니다.
포화액의 온도를 그대로 두고 압력을 높이면 어떤 상태가 되는가?
(정답률: 69%)
- 압축액
- 포화액
- 습포화 증기
- 건포화 증기
✅ 정답: 1번. 압축액
풀이
포화 상태란 액체와 증기가 공존하는 상태이며, 이때의 온도와 압력은 서로 고유하게 연결되어 있습니다.
만약 포화 상태에 있는 액체(=포화액)의 온도를 그대로 두고 압력을 높인다면, 그 상태는 포화곡선에서 벗어나게 되어 액체 상태가 더 안정해진 상태, 즉 압축액(Compressed Liquid)이 됩니다.
📌 보기별 해설
- 1. 압축액 – 정답. 포화온도에서 압력을 높이면 포화상태를 벗어나 압축액이 된다.
- 2. 포화액 – 압력을 그대로 두어야 포화액이 유지됨. 압력을 높이면 더 이상 포화상태가 아님.
- 3. 습포화 증기 – 액체와 증기가 공존하는 상태이나, 이건 열을 추가해야 도달 가능.
- 4. 건포화 증기 – 완전히 증발된 상태이며, 이것도 가열해야 도달하는 상태임.
💡 요약 정리
조건 | 변화 | 결과 상태 |
---|---|---|
포화액 상태 | 온도는 그대로, 압력 ↑ | 압축액 |
포화액 상태 | 압력은 그대로, 열을 공급 | 습포화 증기 → 건포화 증기 |
결론: 온도는 그대로 두고 압력을 높이면 액체는 더 압축된 상태가 되어, "압축액"이 됩니다.
액체연료 사용 시 고려해야 할 대상이 아닌 것은?
(정답률: 55%)
- 잔류탄소분
- 인화점
- 점결성
- 황분
✅ 정답: 3번. 점결성
풀이
액체연료(예: 중유, 경유 등)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연소 특성, 안전성, 환경 유해성 등을 고려해야 합니다. 그에 따라 점도, 인화점, 황 함유량, 잔류탄소분 같은 항목들이 주요 평가 기준이 됩니다.
📌 보기별 해설
- 1. 잔류탄소분 – 연소 후 남는 탄소 성분. 슬러지 발생이나 연소 불완전에 영향을 주므로 중요합니다.
- 2. 인화점 – 연료가 불이 붙는 최소 온도. 안전성과 직결되므로 반드시 고려해야 합니다.
- 3. 점결성 – 고체 연료(예: 석탄, 코크스 등)의 결합력을 나타내는 성질로, 액체연료에는 해당되지 않습니다. → 정답
- 4. 황분 – 황 성분은 황산화물(SOx) 배출로 인해 환경 오염을 유발하므로 반드시 고려해야 합니다.
💡 요약 정리
항목 | 설명 | 액체연료 관련성 |
---|---|---|
잔류탄소분 | 연소 후 남는 찌꺼기, 슬러지 원인 | 고려 대상 |
인화점 | 안전 관련 핵심 온도 | 고려 대상 |
점결성 | 고체 연료 특성 (액체에는 무관) | 고려 대상 아님 |
황분 | 환경 규제, 배기가스 유해물질 | 고려 대상 |
결론: "점결성"은 고체연료의 성질이므로 액체연료를 사용할 때 고려할 필요가 없습니다. 따라서 정답은 3번입니다.
'자격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공인회계사 자격증 취득 방법|시험일정·과목·합격률 완벽 가이드 (0) | 2025.09.26 |
---|---|
지게차 자격증 따는데 드는 비용과 기간 (0) | 2025.09.26 |
전기안전관리자 산업기사 자격증 선임기준 (0) | 2025.06.26 |
소방안전관리자1급 기출문제 (0) | 2025.06.21 |
50대 자격증, 필수 자격증은 무엇일까 (0) | 2025.06.15 |